대출을 받을 때 선택할 수 있는 세 가지 주요 상환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리금 균등 상환, 원금균등 상환, 그리고 만기 일시상환. 각 방식은 상환 구조와 이자 부담에 있어 차이가 있으며, 대출자의 상환 능력과 재정 계획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은 대출금의 원금과 이자를 매월 또는 매기 정해진 기간 동안 같은 금액으로 분할하여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초기에는 이자 비중이 높고 원금 비중이 낮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금 비중이 높아지고 이자 비중이 낮아집니다.
예시
1억 원을 연이율 2%로 1년간 대출받을 경우, 매달 약 837만 원을 상환하게 됩니다. 이 상환금 중 초기에는 대부분이 이자로 구성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원금 상환 비율이 증가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이자+원금을 매달 동일하게 납부하고 싶을때 원리금 균등 상환방식을 이용합니다.
월 | 납입원금(원) | 대출이자(원) | 월 상환 금액(원) | 잔액(원) |
1 | 8,295,207원 (829만원) | 83,333원 (8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91,704,792원 |
2 | 8,302,120원 (830만원) | 76,420원 (7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83,402,671원 |
3 | 8,309,038원 (830만원) | 69,502원 (6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75,093,632원 |
4 | 8,315,963원 (831만원) | 62,578원 (6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66,777,669원 |
5 | 8,322,893원 (832만원) | 55,648원 (5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58,454,776원 |
6 | 8,329,828원 (832만원) | 48,712원 (4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50,124,947원 |
7 | 8,336,770원 (833만원) | 41,770원 (4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41,788,177원 |
8 | 8,343,717원 (834만원) | 34,823원 (3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33,444,459원 |
9 | 8,350,670원 (835만원) | 27,870원 (2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25,093,788원 |
10 | 8,357,629원 (835만원) | 20,911원 (2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16,736,159원 |
11 | 8,364,594원 (836만원) | 13,946원 (1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8,371,564원 |
12 | 8,371,564원 (837만원) | 6,976원 (0만원) | 8,378,541원 (837만원) | -1원 |
원금 균등 상환 방식
원금 균등 상환 방식은 대출금의 원금을 대출 기간 동안 균등하게 분할하여 매월 상환하고, 이자는 남은 원금에 대해 계산하여 매기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매월 상환 금액이 점차 감소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시
1억 원을 연이율 2%로 1년간 대출받을 경우, 처음에는 약 841만 원을 상환하고, 이후 매월 점차 줄어들어 마지막 달에는 약 834만 원을 상환하게 됩니다. 초기에는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보다 납부 금액이 높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월 상환금액이 줄어듭니다.
대출 금액이 좀더 내더라도 원리금보다 빠르게 대출을 상환하여 이자를 줄이고 싶다면 원금 균등 상환 방식을 추천 드립니다.
월 | 납입원금(원) | 대출이자(원) | 월 상환 금액(원) | 잔액(원) |
1 | 8,333,333원 (833만원) | 83,333원 (8만원) | 8,416,666원 (841만원) | 91,666,666원 |
2 | 8,333,333원 (833만원) | 76,388원 (7만원) | 8,409,722원 (840만원) | 83,333,333원 |
3 | 8,333,333원 (833만원) | 69,444원 (6만원) | 8,402,777원 (840만원) | 75,000,000원 |
4 | 8,333,333원 (833만원) | 62,500원 (6만원) | 8,395,833원 (839만원) | 66,666,666원 |
5 | 8,333,333원 (833만원) | 55,555원 (5만원) | 8,388,888원 (838만원) | 58,333,333원 |
6 | 8,333,333원 (833만원) | 48,611원 (4만원) | 8,381,944원 (838만원) | 50,000,000원 |
7 | 8,333,333원 (833만원) | 41,666원 (4만원) | 8,375,000원 (837만원) | 41,666,666원 |
8 | 8,333,333원 (833만원) | 34,722원 (3만원) | 8,368,055원 (836만원) | 33,333,333원 |
9 | 8,333,333원 (833만원) | 27,777원 (2만원) | 8,361,111원 (836만원) | 25,000,000원 |
10 | 8,333,333원 (833만원) | 20,833원 (2만원) | 8,354,166원 (835만원) | 16,666,666원 |
11 | 8,333,333원 (833만원) | 13,888원 (1만원) | 8,347,222원 (834만원) | 8,333,333원 |
12 | 8,333,333원 (833만원) | 6,944원 (0만원) | 8,340,277원 (834만원) | 0원 |
만기 일시상환 방식
만기 일시상환 방식은 대출 기간 동안 이자만을 상환하고, 원금은 대출 만기일에 일시에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상환 부담을 줄이고자 하는 대출자나 일정 기간 동안 현금 흐름을 유지하고자 하는 사업자에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예시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경우, 대출 기간 동안 원금을 갚지 않고 이자만 납부하다가 만기에 전체 원금을 한 번에 상환합니다.
이자 비교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과 원금 균등 상환 방식은 이자 부담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원금 균등 상환 방식은 원금을 빠르게 갚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더 적은 이자를 지불합니다. 예를 들어, 대출금 1억 원, 연이율 3%, 대출기간 10년의 경우, 원금 균등 상환 방식에서는
총 1512만 원의 이자를 지불하는 반면,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에서는 1587만 원의 이자를 지불하게 됩니다.
출금액 | 1억원 |
연이율 | 3% |
대출기간 | 120개월(10년) |
이자는 다음과 같이 10년동안 원금 균등 상환 방식은 1512만원, 원리금 균등 방식은 1587만원 입니다.
보통 대출기간은 20~30년이 경우가 많으니 장기로 대출 받는 경우 휠씬더 부담스럽겠죠?
원금 균등 | 원리금 균등 | |
이자 | 1512만원 | 1587만원 |
결론
각 상환 방식은 대출자의 재정 상태와 목표에 따라 장단점이 있습니다. 원금을 빠르게 갚고 싶다면 원금 균등 상환을, 매달 동일한 금액을 상환하길 원한다면 원리금 균등 상환을, 최소한의 상환 부담을 원한다면 만기 일시상환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집 마련 대출 조건 6가지에 대해 알아보세요 (0) | 2024.04.29 |
---|---|
전세 대출 갈아타기 조건 및 체크사항, 금리 총정리 (0) | 2024.04.26 |
전세사기피해자 최우선변제금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대출 조건 , 신청방법 (0) | 2024.04.25 |
전세피해임차인대상 버팀목 전세대출대환 대출 신청 조건 및 신청 방법 (0) | 2024.04.25 |
전세피해 임차인 버팀목전세자금 대출 조건 및 신청방법 (1) | 202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