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양한 정책정보 속에서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하지만 상세히 알면 큰 도움이 되는 내용들이 많습니다. 생활에 필요한 정책상식은 우리의 삶을 보다 풍부하게 만들어 줍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오늘은 알아두면 유용한 '정책상식', 바로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2023년 6월부터 시작된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중장기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 지급과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여, 5년 만기 시 최대 5000만 원의 목돈 마련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협약은행 앱에서 가입신청 후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참여은행에는 농협,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등이 있습니다. 가입을 위해서는 만 19~34세의 개인소득 요건과 가구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혜택
- 정부기여금: 60개월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이 지급됩니다.
- 비과세 혜택: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
- 금리 혜택: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로 설정됩니다.
가입 대상자 확대
2024년부터는 가구소득 요건이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에서 250% 이하로 확대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개인소득 요건은 충족하지만 가구소득 요건에 해당하지 않았던 청년들도 청년도약계좌 개설이 가능해졌습니다.
추가 개선 사항
- 육아휴직급여·수당이 있으면 가입 가능
- 전년도 소득 미확정 시 전전년도 소득 기준 비과세 판단
- 3년 이상 가입한 경우 중도해지해도 비과세 혜택 유지
- 혼인과 출산 사유로 중도해지 시 정부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 유지
- 군 장병 및 전역한 청년들도 군 장병소득을 근거로 가입 신청 가능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에게 중장기 자산형성의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도구
입니다. 이제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느리지만 확실한 방법으로 '목돈'을 만들어 보세요. 청년 여러분의 풍요로운 미래를 위해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문화예술패스: 12일 만에 절반 이상 발급된 이유와 청년에게 주는 기회 (0) | 2024.04.23 |
---|---|
2024년 청년월세 특별지원 확대: 지원조건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4.04.23 |
신혼부부 디딤돌 대출 한도 조건 완화 대출한도 (0) | 2024.04.23 |
새출발기금 신청 대상 지원내용 및 신청방법 (0) | 2024.04.23 |
내일배움카드 신청 대상 및 신청 방법 (0) | 2024.04.23 |